1. 기타 놀이치료 기법
이완치료와 적절한 한계설정
이런 아동들을 위한 놀이치료의 목표는 그런 행동을 멈추게 하는 것이 아니라 그런 행동을 하는 아동을 이해하고 이들이 표현하지 못한 감정들, 원하는 것과 욕구들을 표현할 적절한 수단을 제공해 주는 것이다. 많은 놀이치료자들이 공격적인 행동에 적절히 반응하는 것이 어렵다고 느낀다. 왜냐하면 놀이방에서의 그런 행동들이 치료자를 향한 행동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런 경우에 치료자는 공격을 개인적인 것으로 받아들여 정서적 반응을 일으키며 문제해결의 초점을 정이에 대한 주제로 이동시키게 된다. 놀이치료는 아동이 공격적인 감정들을 효과적으로 방출하게 도움을 주며 그 과정에서 놀이방 밖에서의 아동의 태도나 행동들이 개선된다. 아동의 공격적 행동 뒤에 감춰진 감정과 욕구들이 수용되고 표현되도록 허락되면 아동은 보다 긍정적인 행동을 탐색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아동에게 내재해 있는 분노감정을 수용하고 분노감정의 방출을 적극적으로 돕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때 주의할 점은 부정적인 감정을 현실적인 한계 내에서 허용될 수 있는 형태로 표현하도록 돕는 것이다. 이를 위해 치료자는 여러 가지 대안을 준비할 수 있어야 한다. 화가 날 때 깨지는 물건을 던지거나 허용될 수 없는 파괴적 행동을 하는 아동을 위해 펀치백이나 버퍼를 사용하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다트 총쏘기, 다트 던지기, 총쏘기 놀이, 풍선이나 공치기 놀이, 부드러운 공던지기, 플라스틱이나 스펀지 방망이로 치기, 두더지 치기 게임, 종이찢기, 풍선 터뜨리기, 분노폭발 게임, 분노조절 게임 등이 도움이 된다. 신체를 이용한 놀이도 도움이 되는데 처음에는 활발히 자유롭게 움직이게 하는 기회를 주는 것이 부정적이고 충동적인 정서를 해소하는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점차 그런 놀이들도 규칙이 있거나 조직화된 놀이로 바꿔가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 치료자와의 신체접촉을 이용한 놀이는 치료자와의 애착관계를 빠르게 형성시켜 주고 이들의 내면 깊숙히 감춰진 애정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접촉을 이용한 발달놀이치료도 이런 맥락에서 볼 때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아동이 치료자를 때리거나 물건을 파괴하는 등 수용될 수 없는 공격적이고 파괴적인 행동을 할 때 이를 금지시키는 대신 감정을 인정해 주면서 팬터마임으로 하게 할 수도 있다. 아동이 치료에서 제한을 어기고 공격성을 치료자에게 보이거나 수용할 수 없는 파괴적 행동을 할 때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한계설정을 하고 대안을 탐색하게 한다. 제한설정시 치료자는 다음과 같이 ACT의 과정을 기억해야 한다.
치료적 제한설정 과정의 단계
치료적 제한설정 과정에는 여러 가지 구체적 단계들이 있다. 아동의 동기를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다는 것을 전달하는 과정을 촉진시키고, 제한을 분명히 하고, 수용가능한 대안행동들을 제시하기 위해 이 단계들을 실시하는 것이다.
1단계 : 아동의 감정, 바람, 원망을 인정하라.
아동의 감정이나 원망에 대한 이해를 언어화하는 것은 아동의 동기를 수용하고 있음을 전하는 것이다. 이것은 중요한 단계인데 왜냐하면 그것은 아동이 놀이활동으로 표현된 감정을 가지고 있으며, 이 감정들을 수용 가능하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단순히 간정에 대한 이정 없이 제한을 설정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 감정에 대한 곰감적 이해를 말로 표현하는 것은 감정의 강도를 약하게 만든다. 이것은 특히 화가 났을 경우에 더 그러하며 아동이 행동을 수정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것이다. 감정은 감정이 일어난 즉시 반영되어야 한다. 일단 방 저쪽으로 나무블록을 날려버리면 가정의 수용은 더 이상 억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
2단계 : 제한을 전달하라.
제한은 구체적이어야 하며 정확히 무엇을 제한하는지를 분명히 설명해야 한다. 무엇이 적절하고 적절하지 않은지, 또는 무엇이 수용가능하고 수용 불가능한지에 대해 아동의 마음속에 의심이 전혀 없어야 한다. 모호하거나 불분명한 제한은 아동이 책임을 받아들이고 책임지는 능력을 방해한다. 따라서 "물을 많이 퍼내면 안돼."와 같이 치료자가 말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그런 설명은 분명하지 않으며, 특히 자기가 '조금'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아동에게는 더욱 그렇다. 치료자는 이 단계들을 항상 순서대로 지킬 수는 없다. 아동이 망치를 창문에 던지려 하는 긴박한 상황에서는 우선 "창문에 망치를 던져서는 안 돼."라고 말하고 나서 "망치를 창문에 던지고 싶어 하는구나."라고 반영한다. 이 예에서는 감정이 분명하지 않으므로 아동의 바람을 반영하였다.
3단계 : 수용가능한 대안을 목표로 삼아라.
아동은 자신의 느낌을 표현할 다른 방법이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할 수 있다. 그 순간에 아동은 자기를 표현할 단 한 가지 방법만을 생각하게 된다. 이 단계의 제한설정 과정에서 치료자는 아동이 하려는 원래 행동 대신 할 수 있는 대안을 여러 가지 제시한다. 표현을 위해 좀 더 튼튼하고 적절한 도구가 필요하다. "인형집은 밟고 올라가는 곳이 아니야. 의자나 테이블 위에는 올라갈 수 있어." 그림을 그릴 다른 곳이 필요할 수도 있다. "벽은 그림 그리는 곳이 아니야. 이젤 위에 있는 종이나 나무블록 위에다 그릴 수는 있어." 공격적 행동을 치료자에게 보일 때 치료자를 대신할 수 있는 대체물을 선택할 수도 있다. "철이야, 나를 때릴 수는 없어. 대신 저 인형은 때릴 수 있어." 다른 대체물을 말로 알려주면서 그 대체물을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비언어적 단서도 원래 관심대상으로부터 아동의 주의를 분산시키고 선택하는 과정을 촉진시킨다. 아동의 주의를 끌기 위해 아동의 이름을 부른다.
'아동상담과 놀이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택적 함구증의 치료방법 (0) | 2023.07.01 |
---|---|
선택적 함구증의 정의, 임상특성 (0) | 2023.06.30 |
놀이치료의 필요성 (0) | 2023.06.26 |
행동치료기법 (0) | 2023.06.24 |
치료 (0) | 2023.06.20 |